IMG_1284.jpg

<aside> 💬

스타트업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B2B 프로덕트를 거쳐, 현재는 B2C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유저의 불편함을 캐치하고, 그들의 사용 맥락을 고려한 개선을 통해 유저에게 더 높은 사용성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문제를 발견하고,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프로세스로 더 나은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side>


☕ 메이커에게 고민상담 요청하기(Beta)

뉴스레터에 포함된 메이커의 답변에 대한 추가 질문은 물론, ‘고민상담’을 신청하실 수 있어요!

이런 분들에게 추천해요!


참여 뉴스레터 ‘벤치마킹’

🥕 핵심 재료

🔥 조리 방법

벤치마킹을 할 때 주로 어떤 프로세스를 따르시나요? 구체적인 단계나 방법론이 있다면 공유해 주세요.

<aside> 💬

우선 벤치마킹의 목적을 설정해요. 다음으로 벤치마킹할 대상을 선택하는데요. 이때 경쟁사, 유사 서비스, 그리고 업계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사례 등을 기준으로 폭넓게 둘러봐요. 저는 벤치마킹에 대해서 긍정적인 입장인데요! 타사의 서비스도 치열한 고민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다만 당연히 그게 정답은 아니기 때문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런 결정을 했을지 같이 파악해 보려고 노력해요.

</aside>

벤치마킹을 통해 얻은 아이디어를 단순히 모방하는 것을 넘어, 어떻게 자신만의 제품/서비스에 차별화된 가치로 녹여내는 편인가요?

<aside> 💬

가장 중요한 건 우리 유저를 잘 아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아무리 좋은 사례라도,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특성과 서비스가 사용되는 맥락에서는 좋은 솔루션이 아닐 수 있거든요! 실례로 한창 스큐어모피즘이 유행했을 때 우리 서비스에 이런 트렌드를 반영해 볼까?라는 논의를 한 적이 있었는데요, 결론은 하지 말자! 였어요. 유저 연령대와, 서비스 사용 맥락을 고려했을 때 맞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었어요. 이렇게 유저 이해도를 바탕으로 설정한 디자인 원칙이나, 유저 특성, 유저가 서비스를 주로 사용하는 환경 등을 고려하는 게 반드시 필요한 것 같아요.

평면 디자인의 역사: 2편. 리얼리즘과 스큐어모피즘

</aside>